상단영역

본문영역

  • 정치
  • 입력 2014.06.10 16:42
  • 수정 2024.04.29 07:22

자살유해정보 모니터링하는 자살예방 시민옴부즈만 운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2012년 6월부터 운영.. 베르테르 효과 대 파파게노 효과

자살에 관한 보도가 자살을 유발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구체적인 자살방법이 명시된 보도는 유사한 고통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고통을 탈출하기 위한 방법이 적힌 안내서와 같다.

1970년대부터 언론의 보도가 후속 자살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는 보고되어 왔으며, 각국에서는 자살사건에 대한 언론보도의 지침을 마련하여 운영 중이다.

파파게노 효과는 자살에 대한 언론보도를 자제하면 자살충동을 예방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뜻하며, 유명인의 자살이 동반자살을 부추긴다는 이른바 ‘베르테르 효과’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서울시는 2012년 6월 시민들과 정신보건 전문가 100명의 1기 활동을 시작으로 2013년 9월 2기를 새롭게 위촉하여 현재 70여명의 시민옴부즈만이 활동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자살예방협회·한국기자협회가 2004년 ‘자살보도 권고 기준’을 마련하였으나 보건복지부가 모니터한 결과, 2011년부터 2012년 8월까지 방송사의 자살관련 보도에서 전체 1,303건 중 52.3%가 권고기준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살예방 시민옴부즈만의 활동은 자살관련 유해사이트 및 기사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사회적 운동을 전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NS, 포털사이트, 블로그, 카페 경우, ① 자살 관련 유해기사 및 내용 등과 관련한 모니터 ② 관련 사이트 관리자에게 자살유해 게시물에 대한 신고 및 삭제 요청 ③ 사이버수사대 의뢰 순으로 진행된다. 자살 유해 기사의 경우, ① 정정기사 및 항의 기사 발송(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자살보도 권고 기준 2.0’을 함께 발송) ② 유해기사 작성자가 자살예방 시민옴부즈만 홈페이지에 보고서 제출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모니터링 활동 건수는 2012년 110건 대비 2013년 총 450건으로 약 4배 이상 증가하였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이명수 센터장(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은 “자살에 이르게 되는 현상은 매우 복잡한 메커니즘이 작용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방법이 아니라 언론관계자, 시민, 전문가 모두가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책임과 의식을 가지고 함께 해야 예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보건의료정책과(02-2133-7545) 또는 서울시자살예방센터(02-3444-9934/내선284)로 문의하면 된다.

>
저작권자 © 뉴스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