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일반
  • 입력 2016.04.19 10:59
  • 수정 2024.04.27 19:52

서울 시내 건물 지진 무방비 노출 ‘대책시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규슈 구마모토 현에서 일어난 강진의 여파가 제주도와 영남 등 남부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지진이 났을 때 상황이나 대피요령 등을 알리는 경보 체계가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아서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말 전북 익산 내륙지역에서 규모 3.9의 지진이 발생했을 당시 '쾅'하는 소리와 함께 아파트 주차장 CCTV가 흔들렸다.

지난 2014년에는 충남 태안 먼바다에서는 규모 5.1의 지진이 났다.

육지에서 일어났다면 작은 건물이 무너질 수 있는 강도다.

이것을 포함해 지난 5년 동안 한반도에서 일어난 지진은 모두 2백94건이다.

같은 기간 실내에 있는 물건이 심하게 흔들리는 규모 4 이상의 지진은 4건이나 일어났다.

게다가 주변국에서 잇따르는 강한 지진 때문에 우리 국민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일본 강진의 여파가 영향을 미쳤을 때도 별다른 안내가 없었다.

지난 16일 서동우 울산 양정동씨는 “태풍이나 이런 거 오면 국민안전처에서 메시지가 들어오는데 이번엔 아무것도 안 들어와서 대처하기가 많이 혼란스러웠습니다”라고 말했다.

지진은 태풍이나 폭우와 같은 자연재해를 알리는 긴급 재난 문자메시지 서비스 대상이 아니어서 방송 뉴스의 자막을 통해 알리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정부는 뒤늦게 재난 안내에 지진을 포함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정길호 국민안전처 지진방재과장은 “지진 재난방송시스템을 하는 것으로 결정했고, 어떻게 할 것인지는 기상청과 논의할 예정입니다”라고 설명했다.

지진 안전불감증은 건축물에서도 이어진다. 서울시내 건축물 가운데 내진 설계를 반영한 비율은 26%, 건물 4곳 가운데 3곳은 지진에 무방비 상태다.

2009년 이전에 지은 15개 한강 다리도 포함된다.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로 보기 어려운 만큼 지진 경보와 대피 요령에 대한 안내를 강화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병정 한국지진공학회 부회장은 “공공시설에서 과거에 지어진것들이 훨씬 많기 때문에 내진설계에 굉장히 취약한 교량이나 다리 건물이 광장히 많습니다”라고 설명했다.

규모 6 정도의 지진이 일어나면 서울시내 건물 대부분이 무너지는 상황. 수도 서울의 1천만 인구가 지진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
저작권자 © 뉴스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